가구원 수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중위소득 150% | 2,741,747 | 4,632,119 | 5,975,925 | 7,314,435 | 8,636,060 | 9,942,905 |
중위소득 120% | 2,193,397 | 3,705,695 | 4,780,740 | 5,851,548 | 6,908,848 | 7,954,324 |
중위소득 100% 중장년 취성패 |
1,827,831 | 3,088,079 | 3,983,950 | 4,876,290 | 5,757,373 | 6,628,603 |
중위소득 85% | 1,553,656 | 2,624,867 | 3,386,358 | 4,144,847 | 4,893,767 | 5,634,313 |
중위소득 80% | 1,462,265 | 2,470,463 | 3,187,160 | 3,901,032 | 4,605,898 | 5,302,882 |
중위소득 75% 긴급복지지원 |
1,370,873 | 2,316,059 | 2,987,963 | 3,657,218 | 4,318,030 | 4,971,452 |
중위소득 72% 청소년한부모 |
1,316,038 | 2,223,417 | 2,868,444 | 3,510,929 | 4,145,309 | 4,772,594 |
중위소득 70% 기초연금 |
1,279,482 | 2,161,655 | 2,788,765 | 3,413,403 | 4,030,161 | 4,640,022 |
중위소득 60% · 한부모,조손가족 · 청소년한부모 급여 · 취성패 |
1,096,699 | 1,852,847 | 2,390,370 | 2,925,774 | 3,454,424 | 3,977,162 |
중위소득 52% 한부모,조손가족 급여 |
950,472 | 1,605,801 | 2,071,654 | 2,535,671 | 2,993,834 | 3,446,874 |
중위소득 50% · 기초생활,차상위 · 국민취업제도 |
913,916 | 1,544,040 | 1,991,975 | 2,438,145 | 2,878,687 | 3,314,302 |
% |
구분 | 생계・주거・교육급여 | 의료급여 |
대도시 | 6,900만 원 | 5,400만 원 |
중소도시 | 4,200만 원 | 3,400만 원 |
농어촌 | 3,500만 원 | 2,900만 원 |
구분 | 생계·주거·교육급여 | 의료급여 |
대도시 | 1억2000만 원 | 1억원 |
중소도시 | 9,000만 원 | 6,800만 원 |
농어촌 | 5,200만 원 | 3,800만 원 |
주거용 재산 | 일반 재산 (주거용 재산 제외) |
금융재산 |
승용차 |
월 1.04% | 월 4.17% | 월 6.26% | 월 100% |
구분 | 1인가구 | 2인가구 | 3인가구 | 4인가구 | 5인가구 | 6인가구 |
교육급여(50%) | 913,916 | 1,544,040 | 1,991,975 | 2,438,145 | 2,878,687 | 3,314,302 |
주거급여(45%) | 822,524 | 1,389,636 | 1,792,778 | 2,194,331 | 2,590,818 | 2,982,871 |
의료급여(40%) | 731,132 | 1,235,232 | 1,593,580 | 1,950,516 | 2,302,949 | 2,651,441 |
생계급여(30%) | 548,349 | 926,424 | 1,195,185 | 1,462,887 | 1,727,212 | 1,988,581 |